목록Python (3)
log.Sehee

코드 컨벤션 / Code Convention : 코드 스타일의 통일로 가독성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한 규약 Python은 ' PEP-8 '을 사용한다.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요구하는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언어에 맞는 스타일에 맞춰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. - 네이밍 컨벤션 : 클래스, 함수, 변수 등을 네이밍 할 때 사용하는 표기법. Pascal, Snake, Camel 종류가 있다. 1) 자바의 CONST 같이 Python의 바뀌지 않는 상수 값은 기능적인 능력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대문자로 표현한다. 2) 변수, 함수, 클래스 이름을 네이밍 할 때 역할을 추측할 수 있어야 한다. EX) Happybirthday Pascal# 각 단어를 대문자로 구별한다 - HappyBirthDay Camel #..
튜플 / Tuple :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불변형, 순서가 존재한다. a = (1,2,3) print(a[0])# 1 javascript의 const와 같은 느낌 a_dict = [('bob','24'),('john','29'),('smith','30')] 딕셔너리 대신 리스트 + 튜플로 딕셔너리와 비슷하게 만들어 사용한다. 집합 / Set : 리스트 속 중복 요소가 제거된다. a = [1,2,3,4,5,3,4,2,1,2,4,2,3,1,4,1,5,1] a_set = set(a) print(a_set) #{1, 2, 3, 4, 5} a = ['사과','감','수박','참외','딸기'] b = ['사과','멜론','청포도','토마토','참외'] a = set(a) b = set(b) print(a & b)..
변수 생성 방식 & 출력 방식 변수이름 = 값 print(출력할 내용) EX) a = 3 b = 2 print(a+b) print로 출력하며 위 예제 실행 시 5 출력 자료형 :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,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 - 숫자형 a = 7 b = 2 a+b # 덧셈 a-b # 뺄셈 a*b # 곱셈 a/b # 나눗셈 a//b # 몫 a%b # 나머지 a**b # 거듭제곱 a+3*b # 13 (a+3)*b # 20 여러 연산을 한 줄에 할 경우 사칙연산의 순서대로 계산 소괄호를 이용해서 먼저 계산할 부분을 표시해줄 수 있다. a = 5 a = a + 3 print(a) # 8 5인 a에 3을 더한 값인 8을 다시 a에 저장해서 출력 a = a + 3 a += 3 위 아래 ..